민속

(5)사라진 민속놀이 - 충효마을 당산제, 평촌마을 당산제, 화암마을 당산제

- 충효마을 당산제


충효마을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당산제를 모시고 있다. 당산은 할아버지당산, 할머니당산 2곳인데, 할아버지당산은 원래 마을 입구 모정곁에 있는 수령 5백년 정도의 귀목나무였으나 오래전에 벼락을 맞은 후 새로 가지를 친 것이라 한다. 할머니당산은 광주댐 상류의 서쪽 논가에 무덤처럼 흙을 돋우어 세운 입석과 그 주위의 팽나무 세 그루이다. 정월 초순경에 마을 회의를 통해 생기복덕이 맞는 사람 가운데 연장자를 우선으로 제관 3, 축관 1, 화주 1, 집사 4명을 뽑는다. 이 가운데 화주는 궂은 데를 피하고 찬물로 목욕하는 등 금기를 철저히 지킨다. 제비는 마을 전답으로 충당한다. 제일 당일에는 마을 입구, 당산, 제관, 축관, 화주댁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놓아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제의 시간이 되면 풍물을 치면서 마을을 한 바퀴 돈 뒤에 할머니당산으로 나아가서 제를 모신다. 제는 진설-초한-메 올리기-아헌-독축-종헌-헌작-소지-음복-헌식 순서로 거행된다. 당산제 모신 다음 날에는 마을 사람들이 한데 모여 마당밟기를 하며, 동네잔치를 벌인다.



- 평촌마을 당산제


평촌마을에서는 해방 무렵까지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당산제를 모셨다. 당산은 모두 12당산이었으나, 비용이 많이 들어 할아버지, 할머니당산 2군데에서만 뫼다가 그나마 오늘날에는 모시지 않게 되었다. 제물은 닭, 떡, 삼실과, 술 등을 준비한다. 닭은 작은 것으로 12마리를 준비하고 떡은 작은 시루를 사용한다. 제가 끝난 뒤에 음복을 하는데, 특히 떡은 '액맥이떡'이라 하여 마을 사람들 고루 나누어 먹었다고 한다.



- 화암마을 당산제


화암마을 당산제는 '12당산제'라 하여, 마을을 중심으로 해마다 정월 대보름에 제를 모셨다. 그리고 풍물패가 12당산을 돌아다니며 마을의 안녕과 건강을 빌었으며, 날이 새도록 흥겨운 잔치를 벌여 친목과 화목을 다지는 계기로 삼았다. 6․25사변 당시 희생된 주민과 전사자들의 이장비를 마련하기 위해 당산나무 12그루 중 11그루를 베어 판 뒤로는 당산제가 없어졌다. 마지막 남은 한 그루는 수령이 4백년 된 소나무로 잘 보존되어 있다.




top 버튼